미디어의 발전으로 개인의 취향이 세분화되기 시작했다. 전국민이 같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며 시청률이 무려 50% 가까이 나오던 때는 옛말이다. 이제는 시청률 10%도 나오기 어렵다. 이제 더 이상 모두를 만족시킬 필요가 없다. 대중의 취향이 세분화될수록, 내게 맞는 소수의 시장만 찾으면 생존할 수 있다. 애초에 각자가 속해 있는 시장이 다르니, 대기업과 경쟁할 필요도 없다. 유튜브 구독자 수나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도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대중의 인기를 구가하는 것보다, 소수의 열렬한 팬을 확보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즉, 브랜드가 '작음'을 추구하는 것은 의도된 생존 전략이다. '작은 브랜드'는 반드시 이기는 싸움을 하겠다는 다짐이다.
한낱 동네 카페가 스타벅스와 경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작은 동네'에서만큼은 '작은 카페'가 스타벅스를 이길 수 있다. 작은 브랜드만의 솔직함과 고집스러움, 민첩함과 유연성, 집요함과 진정성에서 나오는 고객과의 관계 구축은 대기업이 감히 따라올 수 없다. 작은 브랜드는 새롭게 생겨난 것이 아니다. 작은 브랜드는 언제나 우리 주변에 존재했다. 어렸을 때부터 매일 즐겨 가던 동네 구멍 가게, 동네 주민들이 즐겨 찾는 작은 카페와 식당 모두 작은 브랜드다. 이는 오프라인 매장에만 해당되지 않는다. 소수만이 열광하는 디자이너 브랜드, B급 영화, 서브 컬처, BJ와 유튜버 등도 모두 작은 브랜드에 속한다.작은 브랜드의 핵심은 ‘작은 시장 규모와 희소성’이다. 의도적으로 시장 규모를 축소하고 희소성을 극대화함으로써, 모두를 위한 브랜드가 아니라 브랜드의 철학과 메시지, 그리고 문화를 공감하는 소수를 위해 존재한다.